콘텐츠로 건너뛰기

Background and Foreground IP: Navigating Contracts with Precision

Background and Foreground IP: Navigating Contracts with Precision

In today’s cross-border business landscape, intellectual property (“IP”) lies at the heart of nearly every commercial arrangement. Whether in technology licensing, joint research, or distribution agreements, parties must distinguish between Background IP and Foreground IP, two concepts that often determine long-term ownership, freedom to operate, and bargaining leverage.

Background IP generally refers to intellectual property that a party owns or controls prior to entering into an agreement, or that is developed independently outside the scope of the contract. For example, a software developer’s pre-existing code library or a manufacturer’s proprietary design methods would qualify as Background IP.

Foreground IP, by contrast, refers to intellectual property created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contract. For instance, improvements developed jointly under a research collaboration or modifications customized for a client typically fall into this category.

The distinction seems straightforward, yet in practice, disputes arise when Background IP is embedded in deliverables or when Foreground IP builds heavily upon pre-existing assets.

When negotiating contracts, parties often encounter friction around a few recurring issues.

First, where Foreground IP is developed solely by one party such as the licensor, ownership is usually straightforward. The licensor retains title and may grant the counterparty only a limited license. However, when Foreground IP is created jointly, developed at the other party’s request, or customized to its technical standards, that counterparty will often demand ownership or at least broader rights.

Second, if Foreground IP constitutes an improvement to existing Background IP, the question arises: does the improvement belong to the innovating party, the commissioning party, or both. Courts in Korea as well as in the United States generally respect contractual allocations, but unclear drafting in this area has resulted in costly disputes.

Third, Foreground IP may require patent protection. Negotiating who controls filings, who bears expenses, and who appears as inventor or applicant requires careful planning, particularly in cross border projects.

To minimize disputes, experienced counsel guide clients through a checklist that includes clear definitions, ownership allocation, license scope, sublicensing and assignment rights, patent filing and prosecution, enforcement and infringement responsibilities, exit and post termination use, and dispute resolution mechanisms.

IP protection is now offered on a global scale, standardized across many jurisdictions, yet national differences remain. For instance, Korean law does not permit waiver of authors’ moral rights in the same way as United States law, which requires careful drafting in software and content transactions. Bridging these differences calls for counsel with experience in both jurisdictions.

At Inpyeong Law, our strength lies in combining deep local expertise with international perspective. We have advised Korean entities negotiating with foreign clients or collaborators, Korean medical device companies entering foreign markets, and global companies structuring IP licensing across multiple territories. Our approach is pragmatic: identify risks early, draft with clarity, and align protections with commercial objectives. With cross qualified attorneys in New York and Seoul, we remove the blind spots that often affect cross border contracts.

If your transaction involves sensitive IP, the issues of ownership, control, and long term competitiveness are too important to leave to AI generated boilerplate provisions. We encourage you to consult with Inpyeong Law.

Ends.

Background IP와 Foreground IP: 정밀한 계약 체결을 위한 길잡이

오늘날 국경을 넘나드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지적 재산권(“IP”)은 거의 모든 상업적 계약의 핵심을 차지합니다. 기술 라이선싱, 공동 연구, 유통 계약 등 어떤 형태의 계약이든 당사자들은 Background IP와 Foreground IP를 구분해야 합니다. 이 두 개념은 장기적인 소유권, 자유로운 운영 권한, 협상 우위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Background IP는 일반적으로 계약 체결 전 당사자가 소유하거나 통제하던 지식재산권, 또는 계약 범위 외에서 독립적으로 개발된 지식재산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기존 코드 라이브러리나 제조업체의 독자적 설계 방법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반면 Foreground IP는 계약 이행 과정에서 생성된 지적 재산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연구 협력 하에 공동 개발된 개선 사항이나 고객 맞춤형 수정 사항이 일반적으로 이 유형에 속합니다.

구분은 명확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Background IP가 납품물에 포함되었거나 Foreground IP가 기존 자산을 크게 기반으로 할 때 주로 분쟁이 발생합니다.

계약 협상 시 이해관계자들은 몇 가지 반복되는 쟁점으로 갈등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첫째, Foreground IP가 라이선서와 같은 한 당사자에 의해 단독으로 개발되었다면 소유권은 일반적으로 명확합니다. 라이선서는 소유권을 보유하며 상대방에게 제한된 라이선스만 부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Foreground IP가 공동으로 생성되었거나 상대방의 요청에 따라 개발되었거나 상대방의 기술 표준에 맞춰 맞춤화된 경우, 해당 상대방은 해당 IP에 대한 소유권이나 그보다 폭넓은 권리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둘째, Foreground IP가 기존 Background IP의 개선 사항을 구성하는 경우, 개선 사항의 소유권이 혁신 당사자, 의뢰 당사자, 또는 양측 모두에게 귀속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됩니다. 한국과 미국 법원은 일반적으로 계약상 배분을 존중하지만, 이 부분의 불명확한 계약서 작성은 비용이 많이 드는 분쟁으로 이어졌습니다.

셋째, Foreground IP는 특허 보호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출원 통제권, 비용 부담 주체, 발명자 또는 출원인 표기 주체에 대한 협상은 특히 크로스보더 프로젝트에서 신중한 계획이 필요합니다.

분쟁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험 많은 변호사는 명확한 정의, 소유권 배분, 라이선스 범위, 하위 라이선스 및 양도권, 특허 출원 및 심판, 집행 및 침해 책임, 종료 후 사용, 분쟁 해결 메커니즘 등을 포함한 체크리스트를 통해 고객을 돕습니다.

지적재산권 보호는 이제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많은 관할권에서 표준화되었지만 국가별 차이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 법은 미국 법과 같은 방식으로 저작자의 인격권 포기를 허용하지 않으므로,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 거래 시 신중한 계약서 작성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차이를 해소하려면 양국 관할권에 대한 경험을 갖춘 변호사의 자문이 필요합니다.

저희 법률사무소 인평은 깊은 현지 전문성과 국제적 시각을 결합하여, 외국 클라이언트 혹은 해외 협력사와 협상하는 국내 기업, 해외 시장에 진출하는 국내 의료기기 기업, 여러 지역에 걸쳐 지식재산권 라이선싱을 구축하는 글로벌 기업을 자문해 왔습니다.

법률사무소 인평은 조기에 위험을 식별하고, 명확하게 계약서를 작성하며, 상업적 목표에 부합하는 보호 방안을 마련하는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취합니다. 저희는 전문 자격을 갖춘 미국 및 한국 변호사가 함께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국제 계약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법적 쟁점을 사전에 차단합니다.

귀사의 계약에 민감한 지적재산권이 포함되어 있다면, 그 지적재산권의 소유권, 통제권 및 장기적 경쟁력 문제는 인공지능이 생성해주는 표준 조항들에 맡기기에는 그 중요성이 너무 큽니다.

인평 로펌과 상담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법인 임원 중임 등기 과태료 및 등기신청 방법 - 법률사무소 인평

[ Inquiries ] 

Collec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Law Office Inpyeong requests your consent to the collection and use of your personal information pursuant to Article 15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s follows.

- Purposes of collection of use of personal information: Reply to and counseling regarding legal questions
- Items of personal information to be collected and used: (required) name, contact address, and e-mail address
- Period of reten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6 months from the day of consent to collection and use

* You may refuse consent to the above items. However, without your consent, our response to and counseling regarding your questions will be inevitably limited.

 

법률사무소 인평의 칼럼은 일반적인 법률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이에 수록된 내용은 법률사무소 인평의 공식적인 견해나 구체적인 사안에 관한 법적인 효력을 지닌 법률자문이 아닙니다. 구체적인 사안에 대한 법률의견이 필요하신 분들은 법률사무소 인평의 변호사에게 공식 자문을 요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본 게시물의 저작권은 작성자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관련 구성원
Andrew Baek 외국변호사

02-2038-2339 / abaek@inpyeonglaw.com

Michael Baak 외국변호사

02-2038-2339 / Mbaak@inpyeonglaw.com

조윤상 대표변호사 ・ 변리사

02-2038-2339 / yscho@inpyeonglaw.com

선바로 파트너변호사

02-2038-2339 / brseon@inpyeonglaw.com

박미래 한국변호사

02-2038-2339 / mrpark@inpyeonglaw.com

Recent Posts

Incorporation in Korea for foreign investors:

자세히보기+

3일 전 신청한 연차휴가, 반려해도 불법이 아니다?

자세히보기+

경제범죄 피해자 구제 강화: 부패재산몰수법 운용 현황과 개선 방안

자세히보기+

개인정보처리 통합안내서 : 인공지능(AI) 데이터 처리를 위한 필수동의 폐지와 적법근거 중심 전환 핵심 검토

자세히보기+